2025 정부지원금 청년, 출산, 기초생활수급자

1. 청년 지원금
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: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 10~30만 원 매칭 (3년 유지)
  • 청년도약계좌: 월 최대 70만 원 저축, 5년 후 최대 6천만 원 자산 형성
  • 청년월세특별지원: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24개월
  • 청년주택드림대출: 최대 3억(신혼 4억) 대출, 금리 2.2%, 최대 40년
  •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: 청년과 기업 모두에 월 60만 원씩 최대 1년 지원
  • 국가장학금 확대: 소득 9구간까지 확대, 근로·주거장학금 신설
  • 기타: 장병내일적금, 청년창업, 연구장려금 등 지원 제도 다양



2. 출산장려금 (지자체별 예시)

지역 첫째·둘째 지원금 셋째 이상 추가 지원
서울 약 3,120만~3,320만 원 +200만~400만 원
부산 약 3,050만~3,550만 원 지역별 상이
전남 약 3,050만~4,130만 원 지역별 상이
충북 약 3,100만~4,050만 원 지역별 상이
제주 3,150만 원 최대 5,050만 원

※ 유의사항: 신청 조건, 거주 기간, 주민등록 요건 지자체별 상이.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확인 권장



3.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

  •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(공제 포함) + 재산 환산액
  • 생계급여 = 최저보장 수준 – 소득인정액
  • 2025년 기준 완화: 부양의무자 기준 삭제, 자동차가액 상향 등
  • 조건부수급자: 근로능력 있는 18~64세, 월소득 90만 원 이하 신청 가능

※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(bokjiro.go.kr) 통해 신청

다음 이전